1954년 FIFA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4년 FIFA 월드컵은 스위스에서 개최되었으며, 37개국이 참가하여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서독이 헝가리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헝가리의 코치시 샨도르가 11골로 득점왕을 기록했다. 대회는 독특한 조별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텔레비전 중계가 최초로 이루어졌다. 서독 선수들의 도핑 의혹이 있었으나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FIFA 월드컵 - 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54년 7월 4일 스위스 베른에서 서독과 헝가리가 맞붙어 서독이 3-2로 승리하며 이변을 연출, 축구 역사상 중요한 경기로 기록되었다. - 1954년 스위스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1954년 7월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1954년 7월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1954년 FIFA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대회 | |
![]() | |
개최국 | 스위스 |
기간 | 1954년 6월 16일 – 7월 4일 |
참가팀 수 | 16 |
대륙 연맹 수 | 4 |
개최 도시 수 | 6 |
개최 장소 수 | 6 |
우승팀 | 서독 |
우승 횟수 | 1 |
준우승팀 | 헝가리 |
3위팀 | 오스트리아 |
4위팀 | 우루과이 |
총 경기 수 | 26 |
총 득점 | 140 |
총 관중 수 | 889500 |
최다 득점 선수 | 샤́ㄴ도르 코치시 (11골) |
이전 대회 | 1950 |
다음 대회 | 1958 |
기타 | |
FIFA 월드컵 개최 결정 | FIFA 개최 결정 발표 |
2. 개최국 선정
1946년 7월 22일 룩셈부르크 시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FIFA) 총회에서 스위스가 1954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1] 같은 날 1950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브라질이 선정되었다.[1] FIFA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본부가 있는 스위스에서 개최가 결정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지켜 전쟁 피해가 적어 경기장 시설과 환경 정비가 용이하다는 점도 고려되었다.[23]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에는 총 37개국이 참가하여 16장의 본선 티켓을 두고 경쟁했다. 개최국 스위스와 전 대회 우승팀 우루과이는 자동 진출했고, 나머지 14장의 티켓은 각 대륙별로 배분되었다.
3. 지역 예선
지역 예선 국가/팀 유럽 (UEFA) 27개 팀 중 12개 팀 (12장) 서독, 벨기에,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프랑스, 스위스 (개최국), 오스트리아, 튀르키예,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남미 (CONMEBOL) 4개 팀 중 2개 팀 (2장) 브라질, 우루과이 (1950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북중미&카리브 (CONCACAF) 3개 팀 중 1개 팀 (1장) 멕시코 아시아 (AFC) 3개 팀 중 1개 팀 (1장) 대한민국
일본과 독일 팀들은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출전 금지된 후 다시 예선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서독은 같은 독일 팀인 사르란트(당시 프랑스 보호령)를 상대로 예선을 통과했고, 동독은 1953년 동독 봉기 이후 국제 축구 경기를 취소했기 때문에 참가하지 않았다. 일본은 예선 조별 리그에서 대한민국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아르헨티나는 3번째 연속으로 월드컵 참가를 포기했다.
3. 1. 본선 진출국
개최국 스위스와 전 대회 우승국 우루과이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나머지 14개 자리는 유럽(이집트, 터키, 이스라엘 포함)에 11개, 아메리카에 2개, 아시아에 1개가 배정되었다.
스코틀랜드, 터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월드컵에 첫 출전하였다 (터키와 스코틀랜드는 1950년 대회 본선 진출을 확정했으나 모두 기권하였다). 대한민국은 독립 아시아 국가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참가한 국가가 되었다. 오스트리아는 1934년 이후 처음으로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대한민국은 1986년까지, 터키는 2002년까지 다음 월드컵 본선에 출전하지 못했다.
1950년 대회 3위와 4위였던 스웨덴과 스페인은 모두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다. 스페인은 터키에 밀려 탈락했는데, 두 국가는 예선 조별 리그에서 승점이 같았고, 중립 지역에서 열린 플레이오프 경기에서도 무승부를 기록했다. 결국 시각 장애가 있는 이탈리아 소년이 추첨을 통해 터키의 진출을 결정하였다.[2][3]
일본과 독일 팀들은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출전 금지된 후 다시 예선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서독은 같은 독일 팀인 사르란트(당시 프랑스 보호령)를 상대로 예선을 통과했고, 동독은 1953년 동독 봉기 이후 국제 축구 경기를 취소했기 때문에 참가하지 않았다. 일본은 예선 조별 리그에서 대한민국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아르헨티나는 3번째 연속으로 월드컵 참가를 포기했다.
대륙 연맹 | 출전 국가 수 | 예선 | 조 예선 순위 | 출전국·지역 | 출전 횟수 | |
---|---|---|---|---|---|---|
UEFA/CAF | 1+11 | 개최국 | 스위스 | 4회 연속 4회째 | ||
유럽 예선 | 1조 | 1위 | 서독 | 2회 만에 3회째[22] | ||
2조 | 1위 | 벨기에 | 2회 만에 4회째 | |||
3조 | 1위 | 잉글랜드 | 2회 연속 2회째 | |||
2위 | 스코틀랜드 | 첫 출전 | ||||
4조 | 1위 | 프랑스 | 2회 만에 4회째 | |||
5조 | 1위 | 오스트리아 | 3회 만에 2회째 | |||
6조 | 1위 | 터키 | 첫 출전 | |||
7조 | 1위 | 헝가리 | 2회 만에 3회째 | |||
8조 | 1위 | 체코슬로바키아 | 2회 만에 3회째 | |||
9조 | 1위 | 이탈리아 | 4회 연속 4회째 | |||
10조 | 1위 | 유고슬라비아 | 2회 연속 3회째 | |||
CONMEBOL | 1+1 | 전 대회 우승국 | 우루과이 | 2회 연속 3회째 | ||
남미 예선 | 11조 | 1위 | 브라질 | 5회 연속 5회째 | ||
CONCACAF | 1 | 북중미카리브해 예선 | 12조 | 1위 | 멕시코 | 2회 연속 3회째 |
AFC | 1 | 아시아 예선 | 13조 | 1위 | 대한민국 | 첫 출전 |
4. 대회 방식
1954년 FIFA 월드컵은 독특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는데, 각 조에는 시드 2개 팀과 비시드 2개 팀이 배정되었다. 각 팀은 시드가 다른 팀과만 경기했고 (총 2경기), 조별 리그에서도 90분 내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을 치렀다.[4]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으며, 8강부터는 단판 토너먼트 제도로 변경되었다.
조별 리그에서는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이 주어졌다. 각 조에서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두 팀이 토너먼트 단계로 진출했다. 만약 2위를 차지한 두 팀이 동점일 경우, 플레이오프를 통해 다음 단계 진출팀을 결정했다.[4][5] 실제로 스위스와 이탈리아, 터키와 서독 간의 플레이오프가 진행되었고, 스위스와 서독이 각각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은 각 조 1, 2위 팀들이 맞붙는 방식으로 추첨되었으며, 90분 후에도 비길 경우 연장전을 치르고, 필요하다면 추첨으로 승자를 결정했다.[4]
5. 시드 배정
1953년 11월 30일에 취리히에서 조 추첨을 하였다.[26] 시드 배정 국가는 다음과 같다.
시드국 |
---|
국제 축구 연맹(FIFA)는 예선이 완료되기 전에 오스트리아, 브라질, 잉글랜드,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스페인, 우루과이를 시드 배정팀으로 결정했다.
그러나 터키가 예선에서 스페인을 탈락시키는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하면서, FIFA는 스페인에 할당되었던 시드를 터키에게 주는 것으로 이 상황을 해결했다.[11]
6. 경기장
1954년 FIFA 월드컵은 스위스의 6개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각 도시의 경기장 한 곳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도시 | 경기장 | 이미지 |
---|---|---|
바젤 | 장크트 야코프 경기장 | ![]() |
베른 | 방크도르프슈타디온 | ![]() |
제네바 | 스타드 드 샤르밀 | ![]() |
로잔 | 스타드 올랭피크 드 라 퐁테즈 | ![]() |
루가노 | 코르나레도 스타디움 | |
취리히 | 하르투름 | ![]() |
가장 많은 경기가 열린 곳은 바젤의 장크트 야코프 경기장으로, 총 6경기가 개최되었다. 베른, 취리히, 로잔에서는 각각 5경기, 제네바에서는 4경기, 루가노에서는 1경기가 열렸다.[4]
6. 1. 경기장 목록
경기장 | 도시 | 수용 인원 | 이미지 |
---|---|---|---|
장크트 야코프 경기장 | 바젤 | 54,800명 | |
방크도르프슈타디온 | 베른 | 67,000명 | |
스타드 드 샤르밀 | 제네바 | 31,228명 | |
스타드 올랭피크 드 라 퐁테즈 | 로잔 | 50,000명 | |
코르나레도 스타디움 | 루가노 | 15,000명 | |
하르투름 | 취리히 | 27,500명 |
1954년 FIFA 월드컵은 6개 도시의 6개 경기장(각 도시마다 1개씩)에서 26경기가 열렸다. 가장 많은 경기가 개최된 경기장은 바젤의 장크트 야코프 경기장으로 6경기가 개최되었다. 베른, 취리히, 로잔의 경기장에서는 각각 5경기, 제네바 경기장에서는 4경기, 루가노 경기장에서는 1경기가 개최되었다.
7. 조별 리그
1954년 FIFA 월드컵의 조별 리그는 시드 팀과 비시드 팀 간의 경기로만 진행되었으며, 각 팀은 2경기씩 치렀다.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까지 가는 방식을 택했다.
2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헝가리는 조별 리그에서 2승을 거두며 1위를 차지했다. 서독과 터키는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서독이 터키를 꺾고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2패로 탈락했다.[25]
7. 1. 1조
- 조별 리그에서 시드를 배정받은 팀끼리는 서로 대결하지 않고, 시드를 배정받지 않은 팀끼리도 서로 대결하지 않았다.
-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까지 진행되었다.
1954년 6월 16일, 브라질은 제네바의 스타드 드 샤르밀에서 멕시코를 5-0으로 완파했다.[1] 같은 날 유고슬라비아는 로잔의 스타드 올랭피크 드 라 퐁테즈에서 프랑스를 1-0으로 꺾었다.[2]
6월 19일, 브라질과 유고슬라비아는 로잔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연장전까지 진행)[3] 같은 날 프랑스는 제네바에서 멕시코를 3-2로 이겼다.[4]
결국 브라질과 유고슬라비아가 승점 3점으로 동률을 이뤘지만, 각각 조 1, 2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다. 프랑스와 멕시코는 탈락했다.
7. 2. 2조
2조에서는 헝가리가 2승으로 1위를 차지했다. 서독과 터키는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서독이 터키를 꺾고 8강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헝가리와 터키에 각각 0-9, 0-7로 대패하며 2패로 탈락했다.
- 헝가리 대 대한민국 경기는 취리히의 하르투름에서 열렸으며, 헝가리가 푸슈카시의 2골, 코치시의 3골 등에 힘입어 9-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최악의 패배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25]
- 터키 대 대한민국 경기는 제네바의 스타드 드 샤르밀에서 열렸으며, 터키가 7-0으로 승리했다.
- 헝가리 대 서독 경기는 바젤의 장크트 야콥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헝가리가 8-3으로 승리했다.
7. 3. 3조
1954년 FIFA 월드컵 3조에서 우루과이와 오스트리아가 8강에 진출했다. 체코슬로바키아와 스코틀랜드는 탈락했다.7. 4. 4조
England영어 (잉글랜드)가 1위를 차지하였다. 스위스와 이탈리아는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스위스가 승리하여 8강에 진출하였다. 벨기에는 탈락하였다.[4]8. 결선 토너먼트
1954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오스트리아가 스위스를 7-5로, 우루과이가 잉글랜드를 4-2로, 헝가리가 브라질을 4-2로, 서독이 유고슬라비아를 2-0으로 각각 꺾었다.
준결승전에서는 헝가리가 우루과이를 연장전 끝에 4-2로 꺾었고, 서독은 오스트리아를 6-1로 크게 이겼다. 3·4위전에서는 오스트리아가 우루과이를 3-1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에서는 서독이 헝가리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는 베른의 기적으로 불리며, 전후 독일 재건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8. 1. 8강전
요약에 따르면, 8강전에서는 총 4경기가 치러졌다.- 오스트리아는 스위스와 12골을 주고받는 난타전 끝에 7:5로 승리했다. 이 경기는 월드컵 역사상 한 경기 최다 득점 기록으로 남아있다.[4]
- 우루과이는 잉글랜드를 4:2로 꺾었다.
- 헝가리는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4:2로 승리했다. 이 경기는 3명의 선수가 퇴장당하고 경기 후에도 폭력 사태가 벌어지는 등 매우 거친 양상을 보였으며, 베른의 전투라고 불린다.
- 서독은 유고슬라비아를 2:0으로 꺾었다.
각 경기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경기일 | 경기장 | 팀 1 | 득점 | 팀 2 | 비고 |
---|---|---|---|---|---|
1954년 6월 26일 | 로잔, 스타드 올랭피크 드 라 퐁테즈 | 오스트리아 | 7 – 5 | 스위스 | 월드컵 역사상 한 경기 최다 득점[4] |
1954년 6월 26일 | 바젤, 장크트 야콥 경기장 | 우루과이 | 4 – 2 | 잉글랜드 | |
1954년 6월 27일 | 베른, 방크도르프슈타디온 | 헝가리 | 4 – 2 | 브라질 | 베른의 전투 |
1954년 6월 27일 | 제네바, 스타드 드 샤르밀 | 서독 | 2 – 0 | 유고슬라비아 |
8. 2. 준결승전
1954년 FIFA 월드컵 준결승전은 1954년 6월 30일에 스위스의 로잔과 바젤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헝가리는 우루과이를 연장전 끝에 4:2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에서 우루과이는 월드컵 역사상 첫 패배를 기록했다.[18]
- 서독은 오스트리아를 6:1로 크게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19]
상세한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헝가리 vs 우루과이
- 서독 vs 오스트리아
8. 3. 3·4위전
1954년 FIFA 월드컵 3·4위전에서 오스트리아가 우루과이를 3: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18][19]8. 4. 결승전: 베른의 기적
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베른의 기적'으로 불리며, 서독 축구 국가대표팀이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 경기이다.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54년 7월 4일 베른의 방크도르프슈타디온에서 열렸으며, 6만 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헝가리는 푸슈카시와 치보르의 연속골로 2-0으로 앞서갔으나, 서독은 모를로크와 란의 골로 따라붙었다. 후반 막판 란의 결승골로 서독이 3-2 역전승을 거두었다.[27]
경기 후, 서독 선수들이 메타암페타민을 주입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당시 선수들은 비타민 C 주사를 맞은 것으로 믿었으나, 라이프치히 대학교 연구팀은 선수들이 메타암페타민을 주사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도핑 테스트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진위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15]
이 경기는 전후 독일 재건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독일 팬들은 독일 국가의 1절 "독일 위에 모든 것"(''Deutschland über alles'')을 불러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13]
헝가리 골키퍼 그로시치 죄르지가 한스 셰퍼에게 방해받아 란에게 골을 허용한 장면과 푸슈카시의 87분 동점골 시도가 오프사이드로 판정된 것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특히 오프사이드 판정은 공식 영상의 카메라 위치가 좋지 않아 논란이 되었으며, 일부 목격자들은 심판이 오심을 했다고 주장했다.[16]
Das Wunder Von Bernde (베른의 기적)은 이 경기를 기념하는 2003년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9. 우승국
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서독과 헝가리 간의 경기로, 6만 명의 관중이 스위스 베른의 완크도르프 스타디온에 모였다. 헝가리는 32경기 무패 행진을 기록하며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지만, 서독은 예상을 깨고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 당일 비가 내렸는데, 이는 서독 팀 주장 프리츠 발터가 최고의 경기력을 보이는 날씨라 하여 "프리츠 발터의 날씨"(''Fritz-Walter-Wetter'')라고 불렸다.[13] 아디다스의 아디 다슬러는 서독 팀에 교체 가능한 스터드가 있는 새로운 축구화를 제공하여 경기력을 향상시켰다.
헝가리의 푸슈카시 페렌츠는 부상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선발 출전하여 경기 시작 6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고, 치보르 졸탄이 2분 뒤 추가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서독은 막스 모를록의 만회골과 헬무트 란의 동점골로 빠르게 따라붙었다.
후반전에는 헝가리의 득점 기회가 무산되었고, 경기 종료 6분 전 란이 결승골을 터뜨려 서독이 3-2로 승리했다. 이 골은 독일 라디오 해설가 헤르베르트 짐머만의 유명한 해설과 함께 독일 축구 역사에 남았다.[13]
경기 막판 푸슈카시의 골이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면서 논란이 일었지만, 결국 서독이 쥘리메컵을 차지했다. 독일 팬들은 독일 국가를 부르며 우승을 축하했지만, 일부 팬들이 논란이 있는 1절("Deutschland über alles")을 불러 불안감을 조성하기도 했다.[13]
이 승리는 독일에서 "베른의 기적"(''Das Wunder Von Bern'')으로 불리며, 2003년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13] 반면 헝가리에게는 이 패배가 큰 충격이었으며, 심판 판정과 도핑 의혹으로 인해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2-2 동점골 상황에서 헝가리 골키퍼 그로시치 죄르지가 한스 셰퍼에게 방해받았다는 주장과, 서독 선수들이 비타민 C 주사를 맞았다는 주장,[14] 심지어 메탐페타민을 투여받았다는 주장까지 제기되었다.[15] 푸슈카시의 87분 골이 오프사이드가 아니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6][17]
10.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국가대표팀 | 득점 |
---|---|---|---|
1 | 코치시 샨도르 | 헝가리 | 11 |
2 | 에리히 프롭스트 | 오스트리아 | 6 |
막스 모를로크 | 서독 | ||
요제프 휘기 | 스위스 | ||
5 | 한스 셰퍼 | 서독 | 4 |
헬무트 란 | 서독 | ||
오트마어 발터 | 서독 | ||
히데그쿠티 난도르 | 헝가리 | ||
푸슈카시 페렌츠 | 헝가리 | ||
카를로스 보르게스 | 우루과이 | ||
로베르트 발라만 | 스위스 | ||
12 | 에른스트 슈토야스팔 | 오스트리아 | 3 |
테오도어 바그너 | 오스트리아 | ||
레오폴드 아눌 | 벨기에 | ||
냇 로프트하우스 | 잉글랜드 | ||
프리츠 발터 | 서독 | ||
치보르 졸탄 | 헝가리 | ||
부르한 사르근 | 터키 | ||
수아트 마마트 | 터키 | ||
후안 호베르그 | 우루과이 | ||
오스카르 미구에스 | 우루과이 | ||
22 | 로베르트 쾨르너 | 오스트리아 | 2 |
에른스트 오크비르크 | 오스트리아 | ||
디디 | 브라질 | ||
줄리뉴 | 브라질 | ||
핑가 | 브라질 | ||
이보 브로어디스 | 잉글랜드 | ||
런토시 미할리 | 헝가리 | ||
팔로타시 페테르 | 헝가리 | ||
레프테르 퀴취칸도니아디스 | 터키 | ||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 | 우루과이 | ||
32 | 헨리 코펜스 | 벨기에 | 1 |
발타자르 | 브라질 | ||
자우마 산투스 | 브라질 | ||
탐 핀리 | 잉글랜드 | ||
지미 뮬렌 | 잉글랜드 | ||
데니스 윌쇼 | 잉글랜드 | ||
자크 파통 | 스위스 | ||
레몽 코파 | 프랑스 | ||
장 뱅상 | 프랑스 | ||
리하르트 헤르만 | 서독 | ||
베른하르트 클로트 | 서독 | ||
알프레트 파프 | 서독 | ||
요세프 토트 | 헝가리 | ||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 이탈리아 | ||
암레토 프리냐니 | 이탈리아 | ||
카를로 갈리 | 이탈리아 | ||
베니토 로렌치 | 이탈리아 | ||
풀비오 네스티 | 이탈리아 | ||
에지스토 판돌피니 | 이탈리아 | ||
토마스 발카자르 | 멕시코 | ||
호세 루이스 라마드리드 | 멕시코 | ||
무스타파 에르탄 | 터키 | ||
에롤 케스킨 | 터키 | ||
하비에르 암브로이스 | 우루과이 | ||
옵둘리오 바렐라 | 우루과이 | ||
밀로시 밀루티노비치 | 유고슬라비아 | ||
브란코 제베츠 | 유고슬라비아 |
'''자책골'''
- 지미 디킨슨 (벨기에전)
- 라울 카르데나스 (프랑스전)
- 루이스 크루스 (오스트리아전)
- 이반 호르바트 (서독전)
11.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서독 | 5 | 4 | 0 | 1 | 18 | 12 | +6 | 8 |
2 | 헝가리 | 5 | 4 | 0 | 1 | 27 | 10 | +17 | 8 |
3 | 오스트리아 | 5 | 4 | 0 | 1 | 17 | 12 | +5 | 8 |
4 | 우루과이 | 5 | 3 | 0 | 2 | 16 | 9 | +7 | 6 |
5 | 스위스 | 3 | 1 | 0 | 2 | 7 | 10 | -3 | 2 |
6 | 브라질 | 3 | 1 | 1 | 1 | 8 | 5 | +3 | 3 |
7 | 잉글랜드 | 3 | 1 | 1 | 1 | 8 | 8 | 0 | 3 |
8 | 유고슬라비아 | 3 | 1 | 1 | 1 | 2 | 3 | -1 | 3 |
9 | 튀르키예 | 2 | 1 | 0 | 1 | 8 | 4 | +4 | 2 |
10 | 이탈리아 | 2 | 1 | 0 | 1 | 5 | 3 | +2 | 2 |
11 | 프랑스 | 2 | 1 | 0 | 1 | 3 | 3 | 0 | 1 |
12 | 벨기에 | 2 | 0 | 1 | 1 | 5 | 8 | -3 | 1 |
13 | 멕시코 | 2 | 0 | 0 | 2 | 2 | 8 | -6 | 0 |
14 | 체코슬로바키아 | 2 | 0 | 0 | 2 | 0 | 7 | -7 | 0 |
15 | 스코틀랜드 | 2 | 0 | 0 | 2 | 0 | 8 | -8 | 0 |
16 | 대한민국 | 2 | 0 | 0 | 2 | 0 | 16 | -16 | 0 |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4위전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8강 이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8강 탈락 팀은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 1라운드 탈락 팀은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로 한다. 승부차기로 끝난 경기는 무승부에 포함되며, 승부차기 득점은 총 득점에 산입하지 않는다. 1라운드 승점이 동률일 경우, 2라운드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플레이오프 전적은 산입하지 않는다.[20][21]
12. 기록
기록 종류 | 내용 |
---|---|
총 득점 | 140골 (경기당 평균 5.38골) |
월드컵 400호골 | Max Morlock|막스 모를로크de (1954년 6월 23일 전) |
최다 득점 선수 | Sándor Kocsis|코치시 샨도르hu (11골) |
해트트릭[1] | |
한 경기 최다 득점 | 오스트리아 7-5 스위스 (8강전) |
최다 점수 차 승리 | 헝가리 9-0 대한민국 (조별 리그) |
다음은 이 대회에서 기록되거나 타이 기록을 세운 종전 기록들이다.
'''단일 대회 전체 경기 기록'''
- 경기당 평균 득점 최고 기록 (5.38골)
'''단일 대회 팀 기록'''
- 최다 득점 (헝가리, 27골)
- 경기당 평균 득점 최고 기록 (헝가리, 5.4골)
- 최고 득실차 (헝가리, +17)
- 경기당 평균 득실차 최고 기록 (헝가리, +3.4)
- 우승팀 최다 득점 (서독, 25골)
- 우승팀 경기당 평균 득점 최고 기록 (서독, 4.17골)
- 우승팀 최다 실점 (서독, 14골)
- 우승팀 경기당 평균 실점 최고 기록 (서독, 2.33골)
- 최다 실점 (대한민국, 16골)
- 최저 득실차 (대한민국, -16)
- 경기당 평균 실점 최고 기록 (대한민국, 8골, 1950년 볼리비아와 동률)
- 경기당 평균 득실차 최저 기록 (대한민국, -8.0, 1950년 볼리비아와 동률)
'''단일 경기 기록'''
13. 논란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감독의 영화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 마지막 장면은 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중에 나온다. 장면 배경에서 스포츠 해설자는 서독의 승리를 축하하며 "Deutschland ist wieder was!"(독일이 다시 무언가가 되었다!)라고 외친다. 이 영화는 이 장면을 제2차 세계 대전의 폐허에서 독일의 부흥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죄네케 보르트만 감독의 2003년 독일 흥행작 《베른의 기적》은 결승전의 주요 선수인 헬무트 란을 존경하는 어린 소년의 시각을 통해 독일 팀의 승리 과정을 재구성한다.
13. 1. 서독 대표팀 도핑 의혹
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서독 축구 국가대표팀이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을 3-2로 꺾고 우승한 후, 서독 선수들의 도핑 의혹이 제기되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 연구팀은 서독 선수들이 메타암페타민을 주입받았다고 주장했다.[27] 당시 선수들은 비타민 C 주사를 맞았다고 믿었으나,[27] 이후 황달 증세를 보이는 등 의혹이 증폭되었다. 하지만 당시에는 도핑 테스트가 없었기 때문에 진위 여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27]참조
[1]
웹사이트
Host announcement decision
https://web.archive.[...]
FIFA
2014-06-14
[2]
서적
A history of the World Cup: 1930–2006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3]
웹사이트
Lucky tossers
https://www.theguard[...]
2002-08-08
[4]
뉴스
Aujourd'hui commence le tour final de la Coupe du Monde de football
https://www.e-newspa[...]
1954-06-16
[5]
서적
Soccer Stories: Anecdotes, Oddities, Lore, and Amazing Feat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6]
간행물
La Coupe du Monde
https://www.e-newspa[...]
1954-06-25
[7]
간행물
Die Fußball-Weltmeisterschaft
https://www.e-newspa[...]
1954-06-26
[8]
간행물
Der neue Spielplan
https://www.e-newspa[...]
1954-06-21
[9]
간행물
Tirage au sort des demi-finales
https://www.e-newspa[...]
1954-06-28
[10]
서적
Fußballweltmeisterschaft 1954 Schweiz: Das Wunder von Bern
Agon-Sportverlag
[1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orld Cup Final Draw
https://web.archive.[...]
2012-03-02
[12]
웹사이트
FERENC PUSKAS – International Football Hall of Fame
http://www.ifhof.com[...]
Ifhof.com
1927-04-02
[13]
Youtube
German Anthem -1954 Soccer Worldcup
https://www.youtube.[...]
2014-10-08
[14]
웹사이트
Das Wunder von Bern – Die wahre Geschichte
http://www.broadview[...]
[15]
뉴스
Germany's 1954 World Cup winners 'were doped'
https://www.google.c[...]
2010-10-06
[16]
뉴스
Ewiger Knaben Wunderhorn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04-00-00
[17]
웹사이트
Das Trauma von Bern: Die unbekannte Seite des legendären Endspiels
https://web.archive.[...]
Wndrtv
[18]
간행물
The game has changed –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fy FIFA World Cups
https://www.tandfonl[...]
2020-07-02
[19]
서적
The FIFA World Cup, 1930-2010 : politics, commerce, spectacle, and identities
https://www.worldcat[...]
2014
[20]
웹사이트
page 45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FIFA World Cup: Milestones, facts & figures. Statistical Kit 7
https://web.archive.[...]
FIFA
2013-03-26
[22]
문서
旧ドイツ時代を含む。東西分裂後は初出場。
[23]
문서
続く1958年大会の[[スウェーデン]]も同様に第二次大戦での中立国だった。
[24]
문서
新たに設立された[[ドイツ民主共和国]](東ドイツ)やフランス保護領の[[ザール (フランス保護領)|ザール]]両協会の新規加盟も認められた。
[25]
문서
アジアから最初にW杯へ出場したのは、1938年フランス大会での[[サッカーインドネシア代表|オランダ領東インド]]代表。また、1950年ブラジル大会では[[サッカーインド代表|インド]]が本大会出場を決めていたが、辞退していた。
[26]
웹인용
History of the World Cup Final Draw
https://web.archive.[...]
null
[27]
뉴스
Researcher raises doping spectre over 1954 WCup
http://www.usatoday.[...]
2010-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